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20:33:59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

역대 이순신 관련 영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영화 성웅 이순신
(1962)
성웅 이순신
(1971)
난중일기
(1977)
천군
(2005)
김한민 3부작
명량
(2014)
한산: 용의 출현
(2022)
노량: 죽음의 바다
(2023)
애니메이션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
(1981)
난중일기
(1997)
}}}}}}}}} ||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 (1981)
(구국의 태양 성웅 이순신)
파일: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jpg
<colbgcolor=#007ec3><colcolor=#fff> 감독 김성칠
제작사 남양기획㈜
제작 황기태
총지휘 정병권
기획 전동철, 홍권표
구성 임웅순
원화 박종국, 이시우, 송수원, 최규돈, 김이한, 전영섭
동화 박신애, 김일선, 이재호, 최미옥, 김영미, 박성민
선화 최미향, 김명순, 이현숙
채색 안지영, 박선자, 손소라, 안종나, 김화자, 조수연, 조용복, 최선영, 김정미
작감 정세권
효과 이명로
배경 국헌주
촬영 박민호, 강민수, 정기춘
녹음 청맥녹음실
현상 한국천연색
상영시간 65분
개봉일 1981년 7월말 (대구·대전·광주 등)
1982년 7월 1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별관)

1. 개요2. 제작 과정3. 제목에 대해4. 줄거리5. 여담

[clearfix]

1. 개요

1981년 개봉한 김성칠 감독의 애니메이션. 충무공 이순신의 일대기와 임진왜란 때의 활약을 담고 있다.

2. 제작 과정

당시 이 영화의 각본과 기획에 참여했던 김영한 감독의 글에 따르면,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라는 청와대의 지시를 받고 영화를 시작하게 됐다고 한다. 그래서 월탄 박종화의 자문과 청와대의 후원 약속을 받아 당시 최고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었던 김성칠 감독과 이건설 감독, 그리고 애니메이터 등을 총집합시켜 제작에 착수했고 5년에 걸쳐 90% 가량 완성됐을 즈음 그만 10.26 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제작이 중단, 이 영화에 투자한 한성학 감독이 파산하여 다른 영화사에 넘겨졌고 결국 허술하게 마무리 작업이 된 채 시중에 방영되었다고 한다. # @

3. 제목에 대해

영화진흥공사에서 발행한 〈1981년도판 한국영화연감〉에는 "구국의 태양 성웅 이순신"으로 기록되어 있고, 위 포스터 상의 제목은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이다. 비디오판의 제목은 그냥 "성웅 이순신"이다. 위 제작 과정 문단에 나왔듯 제작이 중단되고 권리자가 바뀌는 등의 과정에서 제목이 변경된 듯하다.

이면(李葂)은 충무공의 셋째 아들로 정유재란 때 이순신에 대한 보복으로 아산현을 습격한 왜군에 항쟁하다 20살의 나이로 전사했다. 막내를 잃은 충무공의 비통한 심정은 난중일기에 절절하게 기록돼 있다.
간담이 타고 찢어지는 것 같다. (...) 천지가 깜깜하고 해조차도 빛이 변했구나. 슬프다, 내 아들아! 나를 버리고 어디로 갔느냐! 내 이제 세상에서 누구에게 의지할 것이냐! (...)마음은 죽고 껍데기만 남은 채 울부짖을 따름이다. 하룻밤 지내기가 한 해를 지내는 것 같구나.

4. 줄거리

1591년 선조 때 나라는 태평성대를 누리고 있는데 이순신 장군은 거북선을 만드는 등 유비무환의 준비를 하고 있다. 1년 후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전국이 쑥밭이 되지만 바다만은 이순신 장군 때문에 왜군이 접근을 못하고 있다. 한때 간신들의 모함으로 옥고를 치르고 백의종군하나 다시 수군통제사가 되어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장열히 전사한다.

5.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