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9:02:43

GABA

감마아미노부탄산에서 넘어옴
🧠 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d5c5c> 구조 대뇌 뇌량 | 전두엽 (운동 피질 · 브로카 영역) | 두정엽 (감각 피질) | 측두엽 ( 해마 · 베르니케 영역) | 후두엽 | 둘레엽 | 뇌섬엽
사이뇌 솔방울샘 | 시상 | 시상하부 | 뇌하수체 | 시상밑부 | 시상상부
소뇌
뇌간 중뇌 | 교뇌 | 연수
기저핵 선조체 | 창백핵 | 흑질 | 시상밑핵
그 외 뇌실 | 뇌척수액 | 변연계 ( 편도체 · 해마)
주요 신경전달물질 글루탐산 | GABA | 도파민 | 세로토닌 | 아세틸콜린 | 노르아드레날린 | 히스타민
이론 뇌가소성 | 브로드만 영역 }}}}}}}}}

유기화합물 - 카복실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373a3c><colbgcolor=#ffee88> 지방산 포화지방산
탄소 개수로 표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2 · 24 · 26 · 28 · 30 · 31 · 32 · 33 · 34 · 35 · 36
불포화지방산 cis-3:1ω1 cis-14:1ω5 cis-16:1ω7 cis-16:1ω10 trans-18:1ω7 cis-18:1ω9 trans-18:1ω9 cis-18:2ω6 trans-18:2ω6 cis-18:3ω3 cis-18:1ω6 cis-20:1ω7 cis-20:5ω3 cis-22:1ω9 cis-22:6ω3
아미노산 구성 아미노산 글루타민 · 글루탐산 · 글리신 · 라이신 · 류신 · 메티오닌 · 발린 · 세린 · 시스테인 · 아르기닌 · 아스파라긴 · 아스파르트산 · 알라닌 · 이소류신 · 트레오닌 · 트립토판 · 티로신 · 페닐알라닌 · 프롤린 · 히스티딘
비단백 아미노산 감마아미노부탄산 · 셀레노메티오닌 · 셀레노시스테인 · 시트룰린 · 오르니틴 · 카르니틴 · 테아닌 · 피롤라이신 · 아스파탐
기타 글루카르산 · 글루콘산 · 글루크론산 · 글리세린산 · 나이아신 · 나프록센 · 레불린산 · 말레산 · 말론산 · 말산 · 벤조산 · 살리실산 · 시트르산 · 아디프산 · 아세토아세트산 · 알다르산 · 알돈산 · 앱시스산 · 옥살산 · 우론산 · 이부프로펜 · 이소시트르산 · 점액산 · 젖산 · 크실론산 · 타타르산 · 탄산 · 판토텐산 · 피루브산 · 감마수산화부탄산 · 하이드록시시트르산 · 디클로페낙 }}}}}}}}}

파일:GABA-3D-balls.png
1. 개요2. 상세3. 음식물로 섭취?

1. 개요

γ-AminoButyric Acid[1]
비단백 아미노산의 일종.

2. 상세

신경에 억제 신호를 보내는 신경전달물질이다. 다른 신경물질이 신경을 자극하여 전기자극을 만들어 낸다면, 이 물질은 다른 신경이 자극한 걸 억제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근육의 움직임에도 관여하며, 근육활동과 분비선 자극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어린이들의 경우 신경흥분물질로 사용되다, 어른이 되면 신경억제물질로 역할이 바뀐다.

간단히 GABA가 하는 걸 자세히 보고싶다면, 을 마실 때를 생각하면 된다. 술을 처음 마실 땐 몸에 힘이 없어지는데, 다 GABA의 역할 때문. 또한 술을 마시면 잠이 오게 되는데, 잠도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GABA의 역할 때문[2]이다. 덤으로 GABA 수치가 높다면,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과 신경을 억제하는 탓에 질식사로 죽어버린다.[3]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부적절하게 길항되면 고혈당증의 위험이 높아진다.

이런 특성을 이용한 의약품이 신경안정제인데, 보통 벤조디아제핀이 GABA의 작용을 강화하여 진정, 졸음을 가져온다. 벤조디아제핀이랑 에탄올류는 GABAa 수용기를 건드리며, 물뽕인 GHB는 GABAb 수용기를 건드린다. WHO에서 발암물질로 지정된 빈랑 열매(Betel nut/Areca nut)에 포함된 알칼로이드류들도 GABA 재흡수 억제 및 강력한 수용체 길항 작용을 한다.

GABA는 성장한 척추동물의 수용기에서 억제작용을 한다. 이와 반대로 GABA는 곤충의 경우 포유류와 반대로 시냅스와 근육세포 중간에서 근육활동을 조정하며, 전체 분비선의 자극에도 영향을 미친다.

속씨식물의 중복수정에서도 관여하는데 밑씨에서 GABA를 분비하면 화분관 신장이 유도된다.

오감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데 이것이 많으면 둔하고 적으면 민감하다.[4]

3. 음식물로 섭취?

일본에서는 이 추출성분을 넣었다는 초콜렛도 판매한다. 롯데제과에서도 한국에 드림카카오 82%를 출시하면서 이 물질을 약 80mg 첨가했었다. 현재는 82% 제품에서 GABA는 빠지고 폴리페놀 함량만을 내세운다.

리홈쿠첸에서 GABA현미 기능 밥솥을 2006년에 출시했었다.

하지만 인체에서 입으로 섭취한 GABA가 혈뇌장벽을 통과하여 뇌로 도달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


[1] 한국어로는 "감마-아미노낙산" 또는 "감마아미노뷰티르산"이라고 읽는다. 상단 틀에는 '감마아미노부탄산'을 표제어로 한다. [2] + 히스타민도 있지만... [3] 오피오이드나 바르비탈류, 벤조디아제핀, 졸피뎀, 프로포폴 등 중추신경 억제제 오남용 시의 주된 사인이 호흡 억제인 이유가 이것이다. 연수의 호흡 중추인 고립로핵, 망상체, 의문핵의 GABA 수용체에 과도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호흡이 마비된다. [4] 실제로 청각과 시각민감도에 큰영향을 준다.